관리종목 지정요건과 상장폐지 주식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상장폐지 위험이 잔재해 있다고 보셔야 합니다. 관리종목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회사가 갖춰야 할 기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때 지정되는데, 보통 이런 조건들에 해당하면 사실상 회사에 문제가 생긴 겁니다. 일단 관리종목 지정요건은 코스피(유가증권시장)와 코스닥이 다른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스피시장(유가증권시장) 1) 사업보고서 미제출(연간 90일이내, 반기/분기 45일 이내) 2) 회계법인 감사의견 및 검토의견(한정, 부적정, 의견거절) 3) 자본잠식(자본금 50% 이상) 4) 주식분포 현황(소액주주 200명 미만, 지분율 10% 미만) 5) 거래량(반기 월평균 거래량이 유동주식수의 1% 미만) 6) 지배구조(이사회 정원수에..
관리종목 지정되면 상장폐지?
관리종목 지정요건과 상장폐지 주식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상장폐지 위험이 잔재해 있다고 보셔야 합니다. 관리종목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회사가 갖춰야 할 기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때 지정되는데, 보통 이런 조건들에 해당하면 사실상 회사에 문제가 생긴 겁니다. 일단 관리종목 지정요건은 코스피(유가증권시장)와 코스닥이 다른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스피시장(유가증권시장) 1) 사업보고서 미제출(연간 90일이내, 반기/분기 45일 이내) 2) 회계법인 감사의견 및 검토의견(한정, 부적정, 의견거절) 3) 자본잠식(자본금 50% 이상) 4) 주식분포 현황(소액주주 200명 미만, 지분율 10% 미만) 5) 거래량(반기 월평균 거래량이 유동주식수의 1% 미만) 6) 지배구조(이사회 정원수에..
2022.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