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신규상장주

삼기이브이 수요예측 및 공모가 내용정리

  • -

삼기의 자회사 삼기이브이가 물적분할된 이후 2023년 1월 17일부터 공모가액 산정을 위한 수요예측에 돌입합니다. 그래서 삼기이브이가 어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지, 투자할때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지 간략히 정리해봤습니다. 

 

✅삼기이브이 공모가 및 유통가능물량

삼기이브이는 2022년 06월 15일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2년 10월 27일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통지 받았으며, 2022년 12월 22일 최초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였습니다.

삼기이브이는 금번 공모 시 사업 유사성, 규모 유사성 및 일반사항 등을 고려하여 비교기업 및 공모가액을 산출, 최종 비교기업으로 알루코, 삼아알미늄을 선정하였습니다. 다만, 삼기이브이 희망공모가액은 13,800~16,500원이며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 수요예측은 2023년 1월 17일(화) 및 1월 18일(수), 청약은 2023년 1월 25일(수) ~ 1월 26일(목) 진행될 예정입니다.

한편 삼기이브이 상장예정주식수 14,280,614주 중 약 27.24%에 해당하는 3,890,505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하니 이부분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수요예측: 2023년 1월 17일 ~ 1월 18일

☑공모가: 수요예측 이후 결정(미정)

☑유통가능물량: 3,890,505주(27.24%)

 

✅삼기이브이 주요사업 및 매출구조

삼기이브이는 End-User 기준, 폭스바겐 그룹(폭스바겐, 아우디 등), 포드, 포르쉐 등을 포함한 다수의 해외 완성차 업체에게 이차전지 부품을 공급(직접적인 고객사는 Cell Maker인 LGES 등)중에 있는 상황, 삼기이브이는 전기자동차에 포함되는 이차전지 부품 (End Plate)을 통해 주요 매출액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이차전지 Cell Maker인 LG에너지솔루션의 폴란드 법인과 STARION POLAND, NARA BATTERY ENGINEERING 등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삼기이브이 주요 매출처 현황
삼기이브이 주요 매출처 현황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을 포함한 상위 3개 고객사를 통한 매출 비중은 2021년 실적 기준 약 85.7%, 2022년 3분기 실적기준 약 92.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요 매출처와의 신뢰관계가 훼손되거나 주요 매출처의 재무부실 등으로 주요 매출처에 대한 매출이 감소할 경우 실적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지배적인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구매정책 변경에 따라 납품단가 인하 요청 혹은 품질개선 요구 등에 따라 수익성 악화 위험도 존재합니다. 

  • 상위 3개 고객사 비중 2021년 → 85.7%
  • 상위 3개 고객사 비중 2022년 → 92.9%

 

✅차량용반도체 및 경쟁업체 위험

삼기이브이가 영위하고 있는 이차전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 시장은 EV시장의 가파른 성장에 따라 수혜를 받고 있는 산업이며, 전기차 및 완성차 산업의 생산 및 소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어 주요 고객들의 공장 가동 중단기간이 증가하게 되거나, 그 외 급격한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면 삼기이브이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것이며, 이는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됩니다.

 

아울러 다이캐스팅 산업자체는 연혁이 길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이차전지용 부품 및 전기차 부품시장으로의 유입될 수 있는 잠재적인 경쟁자가 존재하는 시장입니다. 이로인해 상대적으로 CAPA가 큰 업체가 시장에 진입하면 시장점유율이 하락할 수 있으며, 다수의 경쟁사의 시장진입으로 인한 시장경쟁 심화로 가격경쟁이 치열해질 경우 삼기이브이 수익성이 하락할수 있습니다. 

 

✅주요 원재료 알루미늄 가격변동 위험

삼기이브이 주요 원재료인 알루미늄(ADC 12, Silafont-36)은 전체 매입액의 약 94.2%(22년 3분기 기준)를 차지, 알루미늄 산업은 중국이 최대생산국으로 전 세계 공급량의 5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알루미늄 국제 가격은 1) 중국의 탄소 배출과 에너지 사용 감축 정책으로 인한 상승, 2) 중국발 수요증가로 인한 국내 알루미늄 부족이라는 특수한 상황까지 발생하여 전년 대비 약 30%~66%까지 상승, 만약 알루미늄 가격이 판가에 미처 연동되기 전에 가파르게 상승하게 될 경우 삼기이브이 수익성이 훼손될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가격변동 현황
알루미늄 가격변동 현황


✅인플레이션 감축법 영향

전기차 부품 산업의 경우 주요 최전방 산업인 전기차 시장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올해 8월 서명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인해 제품의 최종 공급처인 완성차 업체들의 북미 전기차 판매량이 감소한다면 전기차 부품 산업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 11월 4일 현대차그룹은 IRA하위 시행령을 제정하는 미국 재무부에 3년 적용 유예 등 제재 완화의 내용을 담은 의견서를 제출하였으며, 미국 내 상·하원에서도 3년 적용 유예 등 규제 완화에 대한 개정안이 발의됨에 따라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IRA는 향후 10년간 세액공제를 통해 전기차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법안으로 그 기간 동안 세부 시행기준 제정 추이와 이에 따른 영향 등이 바뀌게 될 경우 삼기이브이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삼기이브이 공모자금 사용계획

삼기이브이는 공모자금으로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미국법인 설립, 초기 시설자금에 투자할 예정입니다. 현재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배터리업체 뿐만 아니라 관련 부품업체들 역시 북미지역 진출이 필수적인 상황, 삼기이브이는 2025년부터 북미현지에서 부품을 직접 양산해 공급하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진행중인 프로젝트 변동가능성

삼기이브이의 주요 프로젝트는 LG에너지솔루션에 집중되어있으며, 현재 수주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2개의 프로젝트의 경우 최종적으로 수주계약이 확정된 상황이 아니고 샘플대응 및 견적대응 상태이므로 최종 수주확정이 되지 않을수 있습니다. 아울러 이차전지 부품업종의 특성상 수주총액은 장기공급계약(10년단위)체결 이후, 중장기 계획(1년 단위)을 기반으로 작성되지만, 실제로 납품되는 물량은 월단위 생산계획에 맞춰 세부적인 조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향후 수주잔고 및 생산계획이 모두 변동될수 있습니다. 

 

✅기술발전에 따른 비용증가 등 위험

삼기이브이 주요제품인 엔드플레이트(End Plate)는 이차전지 모듈의 양끝단에 체결 및 용접되는 알루미늄 부품으로, 전방산업인 전기차 및 이차전지 시장의 가파른 성장으로 인하여 매출 또한 동반성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기차/이차전지 부품 시장 내 다양한 신규제품이 개발 및 양산적용됨에 따라 엔드플레이트 외 시장트렌드에 부합되는 신규제품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해야만 하는 상황, 이에 삼기이브이는 이차전지 팩 하우징 및 모듈 개발을 통해 다양한 이차전지 부품영역으로 사업확장을 계획하고 있지만, 업종의 특성상 수주시점에 따라 양산까지 최소 2년 이상의 개발기간 및 신뢰성 검증의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개발인력과 연구개발비의 선행투자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따라서 향후 경상연구개발비의 증가로 인한 수익성 부진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전기차 내 이차전지가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를 절감할 수 있는 CTP와 CTC와 같은 기술적용이 확대되어 이차전지 모듈이 없어질 가능성, 그리고 이차전지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폼팩터(파우치형 배터리, 각형 배터리)의 변화에 따라 엔드플레이트의 탑재수량이 감소하거나 탑재의 필요성이 없어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CTP CTC 등 기술변화
CTP CTC 등 기술변화

 

  • 신규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추진 불가피
  • 개발인력과 연구개발비 선행투자 필요 → 비용증가
  • 신기술 개발로 이차전지 모듈이 없어질 가능성
  • 이차전지 폼팩터 변화로 엔드플레이트 수량감소 또는 탑재 필요성이 사라질 가능성 존재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