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중앙수사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이하 대검 중수부) 1949년 12월 20일 제정된 검찰청법에 의해 제정되었으나 초기 '서류상 기구'에 불과했던 것과 달리 1973년 1월 '특별수사부', 1981년 4월 '중앙수사부'로 이름을 바꾸면서 청와대나 검찰총장의 하명 사건을 담당해왔다. 과거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이나 명성사건, 5공 비리사건, 수서사건,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한보사태, 김현철 비리사건, 이용호 게이트 등 대한민국 현대사의 획을 긋는 굵직한 사건들을 맡아왔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중수부 폐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사망한 것을 계기로 폐지론이 재점화되었다. 이후 2013년 2월 박근혜정부 인수위원회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폐지를 확정..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역사 및 권력서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이하 대검 중수부) 1949년 12월 20일 제정된 검찰청법에 의해 제정되었으나 초기 '서류상 기구'에 불과했던 것과 달리 1973년 1월 '특별수사부', 1981년 4월 '중앙수사부'로 이름을 바꾸면서 청와대나 검찰총장의 하명 사건을 담당해왔다. 과거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이나 명성사건, 5공 비리사건, 수서사건,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한보사태, 김현철 비리사건, 이용호 게이트 등 대한민국 현대사의 획을 긋는 굵직한 사건들을 맡아왔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중수부 폐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사망한 것을 계기로 폐지론이 재점화되었다. 이후 2013년 2월 박근혜정부 인수위원회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폐지를 확정..
2022.10.29